자동차 헤드라이트 소비전력

 자동차 헤드라이트 소비전력  일전의 포스팅에서 세계최초 LED 헤드라이트 채용한 승용차는 코이토 제작소(Koito)가 개발한 LEXUS LS600h에 탑재한 것이 처음이라고 소개 드렸다.  오늘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소비전력에 관해서 설명드리겠다. 소비전력W로 표시된다. 시간당 전압과 전류를 곱한 값이다. 할로겐 라이트의 로빔(Low beam)의 소비전력은 은 55W, 로빔(High beam)은 60W 정도다. 이 수치는 자동차의 전장품중에서 에어콘을 켠상태에서의 소비전력이다. 헤드레이트의 점등을 잊어버리거니 하면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기도 한다. 디스차지 라이트(Discharge

자동차 코스트(비용)를 줄이는 4가지 체크 포인트

자동차 코스트(비용)를 줄이는 4가지 체크 포인트  월스트리 저널 일본어판 기사에 기재된  자동차에 관한 코스트에 관해 간단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여러분들 매일 쓰는 돈이 어떻게 나가는지 잘 모르다면 소유하고 자동차를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중형세단의 경우 년간 1만 5천 마일 (2만4천km)을 주행한다면 연료비, 수리비, 완전보상보험, 등록비용, 자동차 대출 금리 등으로 월간 평균 760달러(약 80만원), 년간 9150달러(약 980만원)가

이스즈(ISUZU),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럭 (PHV Truck)

일본의 상용차 기업인 이스즈(ISUZU) 자동차는 2012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럭 전시   이스즈(ISUZU) 자동차는  2012년 일본자동차 기술회 전시회에 소형트럭 엘프(ELIF)의 소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출품하였다.기존의 하이브리드(HV)에 비교해서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과 모터출력을 향상시켜서서 파워스티어링, 베큠펌트의 전동기기와 충전기를 탑재하였다.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주행과 모터주행에 의한 무공해·저소음 주행이 가능하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럭의 배송 패턴은 시내주행은 전기자동차(EV) 주행고, 큰도로에서는 하이브리드 주행(HV)을 한다. 그리고 충전은 배송센터에서 하게된다.

세계최초 LED 헤드라이트 채용한 승용차는?

세계최초 LED 헤드라이트 채용한 승용차는? 코이토 제작소(Koito)가 개발하여 LEXUS LS600h에 탑재   아웃도어용 헤드라이트, 전장부품관계에 LED가 일찍부터 보급되었다. 그러나, 자동차용으로 채용은 늦어졌다. 이유는 멀리까지 빛이 뻗어나가지 않는것과 광원 1개당 광량이 적은것이 과제였다.  2007년 일본의 코이토 제작소(Koito)가 이 문제를 해결하여 LEXUS LS600h의 주행전조등용으로 세계에서 최초로 실용화 했다. 자동차용으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는 원거리용, 중거리용, 근거리용, 그리고 와이드한 전조등용으로 5종류의 광원을 설정했다. LED 1개당 전력은

듀얼젯 엔진(Dual jet Engine) (스즈키(Suzuki))

엔진 열효율을 향상을 최대한 추구한 듀얼젯 엔진(Dual jet Engine)을 개발 열효율을 높이는 유효한 수단은 압축비를 높이는것, 이론적으로 압축비를 높이면 출력, 토크, 연비도 향상한지만,연소실내 녹킹(이상연소)가 발생하여 엔진이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기 때문에 점화타이밍을 늦추거나 하는 대책을 실시한다. 그 결과로 출력, 토크저하 된다. 즉,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도한 녹킹제어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듀얼젯 엔진(Dual jet Engine)은 동력성능과 연비향상을 양립시키기

히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V) 중형버스 (Hino PHV BUS)

히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V) 중형버스 (Hino PHV BUS) 히노자동차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중형버스를 개발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2013년 토쿄 모터쇼에 출품출품하였다.   최고 출력 169kW 모터, 용량 40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 급속충전과일반충전이 가능하다. 최고속도 70km/h 연속주행거리는 미공개 하고 있다. 모터와 엔진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지만 대부분은 모터로 주행하는 시스템이다.  비상시에 엔진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발전한  40kW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공급가능한 최대 전력은 248kWh. 예를

직렬 6기통엔진은 전멸직전의 희귀 엔진

현재 세계 자동차 메이커에서 직렬 6기통엔진은 전멸 직전의 희귀 엔진이 되었다.  유일하게  BMW만 직렬 양산하고 있다.    직렬6기통엔진이 전멸 직전의 희기 엔진의 존재가 된것인가를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엔진의 다기통화의 역사를 살펴보자. 4사이클 가솔린엔진을 고트리프 다임러(Gottlieb Daimler, 1883년)가 개발한 당시에는 단기통엔진 이었다. 그 후부터 진동적고  원할한 회전과 고출력화를 추구하여 다기통화가 진전된다.    4사이클 엔진의 경우 흡입, 압축, 팽창, 배기행정을 반복한다. 크랭크

자동차 주행중 연료가 떨어졌을때

자동차 주행중 연료가 떨어졌을때 연료게이지가 E 가 되면 얼마정도 주행이 가능한지 파악해 두도록 하자. 자동차 주행중 연료가 떨어졌을때를 대비햐여 자주 급유하는 분들도 많이 계신다. 그러나 요즘은 남은량 경고등이라는 편리한 기능이 있어 이 상태까지 주행하도 연료가 완전히 떨어지지는 않는다. 비록, 편리한 기능이 이라고 하더라도 남은양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로 계속 주행하면 갑자기 스톱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평상시 가능한 자동차 연비향상 방법

평상시 가능한 자동차 연비향상 방법   1.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은 거의 확실하게 연비 향상에 유효한 방법이다.  전날 소개드린 일본의 최신 신형 자동차에 아이들링 스톱 시스템의 포스팅에 에서 알 수 있듯이 운전중 신호등 등의  정지상태에은 연비향상에 아주 유효한 수단이다.  실제로 아이들링스톱 시스템이 탑재하지 않은 일반 차량에 가솔린 유량계를 장착하여 실험한 결과. 약 7초 이상 정지상태가 계속되는 경우는 엔진을

일본 자동차의 아이들링스톱(Idling Stop) 시스템 명칭

일본 자동차의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시스템 명칭  연비향상을 위해 아이들링스톱을 채용하는 일본 메이커가 늘어났다. JE08모드, 10·15모드 등의 일본의  연비 계측 사이클 모드에서는 정지하는 시간이 비율이 꽤 높다. 엔진을 정지시키면 면 상당한 연비향상이  가능해진다.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 자동차 정차시에 엔진을 정지시키는것. 일본에서는 최근 몇년간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이 보급되어 표준장비에 가까운 기술이 되었다.  최근 보급되게 된 계기가 된 것이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