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 연비

  전기자동차(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 연비    일본의 경우 프러그인 하이브리드(PHV) 는 독자적인 복합연비를 공표. 전기자동차(EV)는 연비규제의 대상외. 하이브리드(HV) 경우 모터만으로 주행가능한 거리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JE08모드(일본에서 사용하는 연비 측정 사이클모드)의 연비계측은 가솔린 자동차, 디젤 자동차와 같은 방법으로 실행한다. 그러나, 영향이 적다고하지만 모터 어시스터가 더해지므로 연비 측정 데이타는 유리하게 된다.  프리우스(PRIUS)의 경우 1310kg의 중량의 모델경우 32.6km/L,1350kg 이상

EARTH DREAMS TECHNOLOGY (HONDA, 혼다)

EARTH DREAMS TECHNOLOGY (HONDA, 혼다) 혼다기연공업(HONDA)은 엔진등의 내연기관과 트랜스미션 등의 효율향상, 모터등의 전동화기술의 진화에 의해 뛰어난 환경성능을 기본으로 하여 운전하는 즐거움과 연비기술을 양립시킨 차세대 신기술[EARTH DREAMS TECHNOLOGY]를 발표. 경자동차 N BOX를 시작으로 다양한 카테고리에 전개하여 각 카테고리에 연비 NO.1를 지향하고,  2020년까지 전세계에 판매하는 제품의 CO2배출량을 2000년대비 30% 저감을 목표로 한다. 주요기술 주행성능과 연비성능을 세계 톱레벨로 실현한

ECO motor (에코모터, 닛산 Nissan)

ECO motor (에코모터, Energy Control Motor, 닛산 Nissan) 엔진 시동이 빠르고 조용한 ECO motor식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기술이다. 이 아이들링 스톱 기술은 닛산 세레나에 탑재됬다. (Nissan, Serena)) ECO motor를 채용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스타터식과 비교하여 엔진재시동시 스타터 모터의 소음이 없는 [조용함]과 [빠름]을 겸비한  아이들링 스톱 기술이다. 일반 차량은 스타터 모터로 재시동한다. 그러나, 닛산 세레나 (Serena)는  ECO motor로 재시동 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알터네이터에 기능을 추가한 모터. 알터네이터에 따로 ECO

고출력 엔진용 흡기 시스템

고출력 엔진용 흡기 시스템 (Intake system for high performance engine) 소음 저감형 직물구조덕트 그리고 대용량 에어크리너 채용하여, 흡입음을 저감하여 차량외부 소음규제와 차량내부의 음의 저감에 공헌. 가변흡기구조 채용하여 엔진고회전시 흡입되는 공기의 충진효율을 향상시켜 출력향상에 공헌 Mazda Motor (마쯔다) RX-8 모델에 채용       작성: 2014년 3월 8일 출처: 일본 자동차 기술회 (2004년 5월, Japanese)  

[정비상식] 엔진오일 역할

엔진오일 역할     윤활작용  피스톤 및 피스톤링, 실린더, 캠 등의 엔진 습동부의 마찰, 마모를 줄인다.   밀폐작용  실런더와 피스톤링 사이에 유맑을 만들어, 기밀성확보. 흡기가 정확하게 되게  압축, 팽창시에 가스압력이 새지 않게 한다.  냉각작용  마찰하는 부분에 발생하는 열을 받아, 오일팬 등에 방열한다. 또한, 고출력엔진에서는 피스톤을 냉각한다.   청정분산작용  연소로 발생한 연료분, 연료가스, 카본 등을 오일중에 분산 시켜 고형물이 되지

[정비상식] 알터네이터가 고장난 경우에도 가까운 정비소까지 주행해서 이동해도 된다.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충전되어 있다만 알터네이터가 고장난 경우에도 가까운 정비소까지 주행해서 이동해도 된다. 알터네이터 고장은 크게 2가지 나누어서 생각 할 수 있다. 첫번째는 알터네이터 내부고장. 다른 경우는 알터네이터을 구동하는 벨트가 끊어진 경우다. 결과적으로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없게 된다.  전기 공급이 안되면 먼저, 경고등에 점등이 된다. 이렇게 되면 자동차 주행할 수 없게 된다고 생각 할 수 있다. 그러나, 잘

[정비상식] 타이어를 로테이션하는 것만으로도 로드 노이즈가 커질수도 있다.

타이어를 로테이션하는 것만으로도 로드 노이즈가 커질수도 있다.   타이어 위치, 회전방향이 바뀌는 것으로 패턴 노이즈이 변화하여 소음으로 느끼게 된다. 주행중에 타이어가 발생하는 음은 패턴 노이즈, 패턴경음, 접지마찰진동음의 3종류로 구별된다. 4륜의 마모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타이어를 로테이션을 하면 각각의 음원의 위치가 변화게 되면 민감한 운전자는 변화를 느끼는 경우도 있다. 회전방향지정이 있는 타이어를 반대방향으로 장착하면 패턴노이즈가 초기설계와

[정비상식] 타이어는 주행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변질)는 진행된다.

타이어는 주행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변질)는 진행된다. 10년 지난 타이어는 미사용 상태에도 표면이 갈라지고 한다. 타이어 악화(변질)는 마모와 고무질의 변화 2종류가 있다. 주행거리가 늘어날 수록 트레드의 마모가 진행되어  트레드가 경화하여 신제품와 동등한 로드그립(Road grip)을 유지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겨울용 타이어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최근 일본 타이어 메이커는 마모되어도 로드그립 성능변화가 아주 최소화 하도록

[정비상식] 엔진 냉각수 온도를 지정온도 범위에 유지하는 게 중요

엔진 냉각수 온도가 높은것이 문제가 되는것은  당연하지만, 냉각수 온도가 낮은상태가 계속되는 것도 문제가 된다. 엔진냉각수 온도가 너무 높으면 노킹발생, 엔진의 과도한 마찰열 발생의 원인이 되어 단기적으로 치명적인 사고와 연결될 수 있다. 역으로 냉각수 온도가 낮은 경우는 원래 시동시에 가장 낮은 경우등이 있으므로  이 것으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와 연결되는 경우는 없다.  엔진은 적정온도 범위에 최고성능이 발휘되도록 설계되있으나 저온이

[정비상식] 자동차 에어백은 오래되어도 사용상 문제 없다.

자동차를 사용하는 기간중에는 탑승자보호성능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에어백은 센서의 전기신호에 의해 착화제로 점화하여 가스발생제로 에어백을 부풀는 구조다.  일본 자동차 제조없체는 [기본적으로 차량사용기간중에는 에어백 성능을 유지되도록 있다]라고 한다. 착화제, 발생제의 년수에 따른 악화를 고려한 설계, 테스트검정으로 탑승자 보호성능에 대하여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에어벡은 메인테넌스 프리로 매회 이그니션ON때  센스 및 점화회로의 자기진단을 하기 때문에 SRC 경고등이 들어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