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개봉한 엔진오일은 산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빨리 사용해야된다. 라고 알고 계신이 분들이 계신다. 이것은 틀린 것이다. 엔진내분에서 산화 되는것과는 다른문제로 연단위로 보존해도 문제없다. 엔진오일교환후 남은 오일은 용기를 밀폐상태로 실내에 보관하면 개봉 했다고 해서 바로 오일 성능이 악화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 제조업체는 적정하게 보관하면 1년정도는 문제 없다고 한다.( 오일 전문가는 10년 정도 두어도 문제 없다고 하는 사람도
자동차 메인터넌스 포인트 (교환주기) 자동차를 안전하고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이 아주 중요하다. 대표적인 정기정검 항목을 정리 해 봤다. 메인테넌스 항목 (정비항목) 교환주기 브레이크 오일 24개월 파워스티어링 오일 20,000km 점화 플러그 100,000km/20,000km 최신 점화플러그수명은 는 10,000km로 길어졌으나 일반 점화플러그는 20,000km 정도가 일반적인 교환주기다. 각종 호스류 100,000km ATF(스트레이너) 20,000km 냉각수 & 라디에이터 캡 24개월 브레이크 캐리버/
하이브리드 자동차 에너지 재생기술(Energy Regeneration for Hybrid)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중요기술이 에너지 재생기술(Energy Regeneration)이다. 자동차 주행시 브레이크를 밟으면 마찰으로 열이 발생한다. 이것은 주행시 운동에너지을 열에너지로 바뀌어 버리게 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이렇게 버려지는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모터를 탑재하여 사용된다. 모터는 제네러이터(발전기)와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한다. 주행중 속도를 감속할때 타이어의 회전을 모터에 전달하여 그 저항으로 속도가 감속되고,
하이브리드 트럭(Hybrid Truck, Hino(히노)) 히노(Hino)일본의 대표적 트럭·버스 기업 관련 포스팅: 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시스템구성도 시스템 구성 : 크린디젤엔진, 파워컨트롤유니트, 모터·제네레이터, AMT 시스템 작동 : 차량 감속주행시에는 에너지 재생, 발진시에는 모터 주행,
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도 (HV / PHEV SYSTEM) HV / PHEV 시스템의 주요 컴포넌트를 아래 시스템 구성도로 잘 알수 가 있다. 작성: 2014년 2월 23일 출처 : 2011년 일본자동차 기술회 Toyota Industries (Japanese)
오토매틱 트랜스미션 (Automatic Transmission, AT) 각부분 설명 자동차의 정지, 발진, 기어체인지 할때 클러치조작이 필요 없이, 운전이 가능한 트랜스미션(변속기)를 말한다. 토크컨버터 방식 오토매틱 트랜스미션 ,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연소가변변속기)방식등이 있다. 대분분의 오트매틱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오토매틱 트랜스미션 각부분 설명 오트매틱 차량을 운전할 경우 특별히 셀렉트 레버을 조작하는 경우는 별로 없어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D렌지 이외의 렌지 역할은 알아
하이브리드(H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배터리 종류 하이브리드(H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자동차 배터리(2차전지)용량이 다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V)에 주로 사용되어지는 배터리는 일반 배터리보다 에너지밀도가 높은 니켈·수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에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한다. 관련 포스팅: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트레인 (토요타 프리우스 (PRIUS)) 하이브리드(HV) 기술은 PHV, EV, FCV의 요소기술을 포함한 핵심 기술 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충전법 (PHV, HV CHARGE) 하이브리드 자동차(HV)
구동방식에 따른 자동차 분류 FR(Front engine Rear-wheel drive system) 자동차 앞부분에 엔진탑재, 후륜으로 구동하는 레이아웃 차량을 프론트엔진 리어 드라이브이라고 한다. (통칭으로 FR).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트랜스미션(변속기), 프로펠러샤프트로 전달되고 후륜에 구동하는 시스템. 이 FR방식은 주로 스포츠카 차량, 고급차종에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승용차에 채용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경향. 다양한 부품이 차량보디 하부에 부착되어 공간확보부분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자동차의 기본요소인 [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