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모드 드라이브 시스템 파워트레인, 전동파워스티어링, 에어콘을 통합적으로 제어하여 스위치 작동으로 고속도로, 시내, 커브가 많은 도로 등의 도로 형태, 드라이브의 드라이빙 스타일등에 적합한 주행모드 가 선택이가능한 시스템이다. HONDA 의 CR-Z(하이브리드카)에 채용된 드라이브 어시스트 시스템이다. SPORT 모드: 주행을 적극적 즐기는 모드 NORMAL 모드: 주행성능과 연비성능의 밸런스 고려한 모드 ECON 모드: 연비향상을 우선한 모드
일본 트럭 전문 생산업체인 미쯔비시후소, 히노, 유디트럭스가 2010년 4월 동시에 신형 대형트럭을 발표했다. 3사 모두 엔진은 직력6기통, 배출가스처리 장치는 DPF+SCR 이다. 연비향상 안전예방 기술 많이 증가한 것이 신형트럭의 특색으로 보인다. 간단하게 3사 신형 트럭을 표로 비교해 보았다. 작성일: 2010.04.23
구동력과 타이어마찰 자동차가 어떻게해서 움직이는가를 설명할때 자동차는 엔진이 만들어 내는 힘으로 타이어를 회전시켜 자동차를 움직인다고 설명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구동력라 한다. 구동력의 원천인 엔진이고 엔진이 없다면 자동차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얼음 빙판 위에서는 어떻까? 자동차를 전진하려고 해도 타이어가 공회전 할뿐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타이어가 회전하는 것만으로 앞으로 전진 할 수 있다는 것이
하이브리드 자동차(HV)의 구성부품과 구동방법을 설명드린다. 아래 동영상은 토요타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엔진, 제네레이터(발전기), 인버터, 전기모터,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저속운행에서는 전기모터로 구동하고, 고속주행과 일정속도이상의 주행에서는 종래의 엔진으로 구동하는게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방법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엔진과 모터의 역할에 의해 3가지 방식이 있다. 시리즈 방식 엔진은 전기 생산(발전)하는 역할만 하고 모터로 주행하는 방식 페러럴 방식 출발시의발진에는 모터로
JC08 모드 연비: 일본의 자동차의 연비를 측정하는 방법(연비측정방식). 종래의 10·15모드 방식에서 JC08 모드방식으로 표기방식이 변경되었다. 2009년 10월 부터 판매하는 자동차 카타로그에 의무적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다양한 운행패턴을 설정하여 연비를 측정하는 방식 면에서는 종래의 10·15모드와 같으나, JC08 모드는 보다 실제운행패턴과 비슷한 방법이다. 10·15 모드: 주행거리 4165m, 최고속도70km/h, 평균속도 22.7km/h, 주행시간 약 9분 JC08 모드: 주행거리 8182m, 최고속도81.6km/h, 평균속도 24.4km/h, 주행시간 약
10 ·15 모드 연비: 일본에서 사용하는 연비표기 방식으로 1L 연료로 몇 km주행이 가능한가를 자동차 운행 패턴을 고려한 연비 측정 방식. 일본에서 자동차 카다로그에 연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원래 배출가스 측정을 위해 정한 운행패턴이다. 10 ·15 모드 연비측정 방식 제1운행방식에서 제3운행방식까지 운행 패턴(10모드) 과 제4운행패턴(15모드)를 샤시 다이나모메터장치를 사용하여 연비를 측정한다. 주) 최고속도 70 km/h 주행거리 4.16km
엔진의 피스톤은 실린더내를 왕복운동한다. 하시점에 도달한 상태가 실린더 용적은 최대가 된다. 이 때의 용적을 실린더 용적이라 한다. 피스톤이 왕복운동으로 상사점에 도달하게 되더라도 실린더 내에는 공간이 남아 있게 된다. 이 공간을 연소실이라 한다. 실린더 용적과 연소실 용적의 비를 압축비(Compression ratio)라 한다. 가솔린 엔진의 경우 10:1 정도가 표준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크기는 배기량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배기량은 실린더
◎빛의 밝기 자동차 용품점에 판매하는 각종 자동차 램프에는 밝기가 명확하게 명기되어 있지 않다. 밝기가 강한 경우라면 [OOW 에해당함] 표기기 많다. 여기서 W(와트) 라는 단위는 전압×전류=와트, 일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기를 표현 하는 것은 아니다.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적정한 것은 빛의 총량을 표시하는 단위로 lm(루멘) 이다. 루멘(lm)계측은 램프에서의 빛의 방향, 빛치는 거리, 계측위치 등에 의한 계측의
일반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이 저하되면 연비가 나빠진다. 연비를 좋게하기 위해서는 공기압을 규정치 보다 다소 높게 하는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공기압이 저하되면 타이어 변형이 크게되고, 굴림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과연 실제로 어느정도 영향이 있는지 실험으로 알아보았다. 비교내용 타이어 공기압을 2.8㎏/㎠, 2.0㎏/㎠, 1.2㎏/㎠ 변경한 경우, 어떤변화가 있는지 비교한다. 1. 고정식 스로트을 사용하여 50km/h까지 가속하는데 필요한 연료소비량을 비교한다. 2. 일정속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