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일본자동차

[토요타 하이브리드] AQUA(아쿠아)

[토요타 하이브리드]  AQUA(아쿠아) AQUA(아쿠아)는 토요타 자동차가 2011년부터 판매시작한 소형 5도어 해치백형 하이브리드(HV) 승용차이다. 일본에서는 AQUA(아쿠아) 명으로, 북미, 대만, 오세아니아 등에서는 2013년 3월부터 프리우수 C(PRIUS C)라는 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프리우스(PRIUS)파생차종으로 프리우스 시리즈이다.   시스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제 3세대 프리우스와 같은 시스템으로 리덕션 기구가 채용된 THS-∥가 채용되었다.  엔진은 아트킨스 사이클을 채용한 배기량 1.5L의 1NZ-FXE형. 신설계한 1LM형 전기모터와 니켈수소 배터리로 구성되었다.

마쯔다(MAZDA),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

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 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는 일본 자동차 메이커 마쯔다(MAZDA)가 개발 및 제조하는 자동차기술의 총징이다. 마쯔다(MAZDA)는 2011년부터 판매하는 자동차 제품 라인업(Line up)에 탑재하는 차세대 기술의 총칭인 SKYACTIVE TECHNOLOGY와 그 중심핵심이 되는 엔진, 트랜스미션, 보디, 샤시,기술의 개요를 발표했다. 마쯔다(MAZDA)는 자동차의 기본성능인 베이스 기술을 철저하게 향상시킨 것을 바탕으로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하이브리드시스템(HV) 등의 전기 디바이스을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빌드 테크놀리지(BUILD  TECHNOLOGY) 전략을 채용하고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REGENERATIVE BRAKING SYSTEM,i-ELOOP)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i-ELOOP) 일본 마쯔다(MAZAD) 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SKYACTIV technology 에 포함되어 있는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i-ELOOP (REGENERATIVE BRAKING SYSTEM,i-ELOOP)는 자동차의 감속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로서 회수하여 자동차가 필요로 하는 전기에너지로서 재이용하는 기술이다. 실제 주행시 연비향상은 약 10%로 시산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알터네이터은 엔진출력의 약 10를 소비한다고 한다.  여러분들 자전거를 탈때 라이트를 켠상태에서는 패달을밟는 힘은 더욱

이스즈(ISUZU),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럭 (PHV Truck)

일본의 상용차 기업인 이스즈(ISUZU) 자동차는 2012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럭 전시   이스즈(ISUZU) 자동차는  2012년 일본자동차 기술회 전시회에 소형트럭 엘프(ELIF)의 소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출품하였다.기존의 하이브리드(HV)에 비교해서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과 모터출력을 향상시켜서서 파워스티어링, 베큠펌트의 전동기기와 충전기를 탑재하였다.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주행과 모터주행에 의한 무공해·저소음 주행이 가능하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럭의 배송 패턴은 시내주행은 전기자동차(EV) 주행고, 큰도로에서는 하이브리드 주행(HV)을 한다. 그리고 충전은 배송센터에서 하게된다.

세계최초 LED 헤드라이트 채용한 승용차는?

세계최초 LED 헤드라이트 채용한 승용차는? 코이토 제작소(Koito)가 개발하여 LEXUS LS600h에 탑재   아웃도어용 헤드라이트, 전장부품관계에 LED가 일찍부터 보급되었다. 그러나, 자동차용으로 채용은 늦어졌다. 이유는 멀리까지 빛이 뻗어나가지 않는것과 광원 1개당 광량이 적은것이 과제였다.  2007년 일본의 코이토 제작소(Koito)가 이 문제를 해결하여 LEXUS LS600h의 주행전조등용으로 세계에서 최초로 실용화 했다. 자동차용으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는 원거리용, 중거리용, 근거리용, 그리고 와이드한 전조등용으로 5종류의 광원을 설정했다. LED 1개당 전력은

히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V) 중형버스 (Hino PHV BUS)

히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V) 중형버스 (Hino PHV BUS) 히노자동차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중형버스를 개발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2013년 토쿄 모터쇼에 출품출품하였다.   최고 출력 169kW 모터, 용량 40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 급속충전과일반충전이 가능하다. 최고속도 70km/h 연속주행거리는 미공개 하고 있다. 모터와 엔진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지만 대부분은 모터로 주행하는 시스템이다.  비상시에 엔진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발전한  40kW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공급가능한 최대 전력은 248kWh. 예를

일본 자동차의 아이들링스톱(Idling Stop) 시스템 명칭

일본 자동차의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시스템 명칭  연비향상을 위해 아이들링스톱을 채용하는 일본 메이커가 늘어났다. JE08모드, 10·15모드 등의 일본의  연비 계측 사이클 모드에서는 정지하는 시간이 비율이 꽤 높다. 엔진을 정지시키면 면 상당한 연비향상이  가능해진다.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 자동차 정차시에 엔진을 정지시키는것. 일본에서는 최근 몇년간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이 보급되어 표준장비에 가까운 기술이 되었다.  최근 보급되게 된 계기가 된 것이

전기자동차(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 연비

  전기자동차(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 연비    일본의 경우 프러그인 하이브리드(PHV) 는 독자적인 복합연비를 공표. 전기자동차(EV)는 연비규제의 대상외. 하이브리드(HV) 경우 모터만으로 주행가능한 거리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JE08모드(일본에서 사용하는 연비 측정 사이클모드)의 연비계측은 가솔린 자동차, 디젤 자동차와 같은 방법으로 실행한다. 그러나, 영향이 적다고하지만 모터 어시스터가 더해지므로 연비 측정 데이타는 유리하게 된다.  프리우스(PRIUS)의 경우 1310kg의 중량의 모델경우 32.6km/L,1350kg 이상

EARTH DREAMS TECHNOLOGY (HONDA, 혼다)

EARTH DREAMS TECHNOLOGY (HONDA, 혼다) 혼다기연공업(HONDA)은 엔진등의 내연기관과 트랜스미션 등의 효율향상, 모터등의 전동화기술의 진화에 의해 뛰어난 환경성능을 기본으로 하여 운전하는 즐거움과 연비기술을 양립시킨 차세대 신기술[EARTH DREAMS TECHNOLOGY]를 발표. 경자동차 N BOX를 시작으로 다양한 카테고리에 전개하여 각 카테고리에 연비 NO.1를 지향하고,  2020년까지 전세계에 판매하는 제품의 CO2배출량을 2000년대비 30% 저감을 목표로 한다. 주요기술 주행성능과 연비성능을 세계 톱레벨로 실현한

ECO motor (에코모터, 닛산 Nissan)

ECO motor (에코모터, Energy Control Motor, 닛산 Nissan) 엔진 시동이 빠르고 조용한 ECO motor식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 기술이다. 이 아이들링 스톱 기술은 닛산 세레나에 탑재됬다. (Nissan, Serena)) ECO motor를 채용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스타터식과 비교하여 엔진재시동시 스타터 모터의 소음이 없는 [조용함]과 [빠름]을 겸비한  아이들링 스톱 기술이다. 일반 차량은 스타터 모터로 재시동한다. 그러나, 닛산 세레나 (Serena)는  ECO motor로 재시동 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알터네이터에 기능을 추가한 모터. 알터네이터에 따로 ECO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