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주행중 엔진 오버히트 정기적으로 자동차 메인터넨스를 한 자동차는 오버히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지만, 보조기기의 벨트가 끊어지거나, 서모스탯트의 작동불량, 라디에이터 호스 파손 등에 의해 오버히트가 발생한다. 수온계을 늘 확인하는 습관을 되어 있으면 갑자기 라디에이터에서 수증기가 분출하는 아주 나쁜상황은 발생하지 않으나 라디에이터의 호스가 갑자기 파열하거나 하면 대책이 없다. 이러한 경우 외에도 라디에이터 안에 냉각수가 없어저 수증기가 분출하는 상황에서는 남아있는
마쯔다(MAZDA),SKYACTIVE-D (디젤 엔진기술) 마쯔다(MAZDA)의 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 자동차 기술에 포함되어 있는 스카이엑티브 엔진 기술인 SKYACTIVE-G의 가솔린엔진기술 소개에 더행 SKYACTIVE-D로 불리는 디젤 엔진기술을 소개드린다. 참고 포스팅: 마쯔다(MAZDA),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 마쯔다(MAZDA),SKYACTIVE-G (가솔린 엔진기술)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REGENERATIVE BRAKING SYSTEM,i-ELOOP) SKYACTIVE-D 는 마쯔다가 개발 및 제조하는 직렬 4기통 디젤엔진의 명칭으로 SKYACTIVE TECHNOLOGY의 크린 디젤엔진 기술을 말한다. SKYACTIVE-D 특징 엔진 압축비를 14.0인 저압축비를 실현하여 기존
리프(LEAF), 닛산(NISSAN) 전기자동차(EV) 최근 국내에서도 전기자동차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가운데 일본의 대표적인 100% 전기자동차를 소개드린다. 참고 포스팅: 전기자동차용(EV) 파워트레인 (고전압유니트 일체형) 닛산(NISSAN) 자동차가 2010년 12월 일본과 미국에 판매하기 시작하여 2012년 부터는 일본, 미국, 영국에서 양산된 5도어 해치백형 100% 전기자동차이다. 2012년 11월에는 일본 국내 사양이 모터사양, 경량화등의 마이너체인지되어, 약간 가격을 내린 S 그레이드가 추가되었 발표했다. 또한 인버터을 트렁크룸에서
에너지를 낭비없이 회생(재생)하는 기술이 하이브리드 자동차(HV)의 핵심기술 하이브리드 자동차(HV) 기술의 대부분은 전기지동차(EV)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기지동차(EV)의 가장 큰 특징은 에너지 회생(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회생(재생) 시스템인 것이다. 하이브리드(HV)가 정체상태의 도로에서 연료소비가 적은 이유는 이 회생(재생) 시스템 있기 때문이다. 하이브리드(HV)의 브레이크는 유압과 회수(재생)을 같이하고 있다(협조 제어기술). 감속도가 높을수록 유압 브레이크의 부담은 커지는 구조이다. 반대로 회생(재생) 브레이크 만으로 가능하면 연비는 한층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ABS(Anti-lock Brake System)) ABS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약자로 급속제동이나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 브레이크가 록(Lock)즉 잠기는것을 방지하기위한 장치이다. 이 시스템 구성은 센서로 각 차륜의 회전을 검출하여 자동차 속도와 노면상황에 따라 브레이크 유압을 전자제어하는 것이다. 유압 구성부품은 전류좌우용 과 후륜용의 3개의 스피드센서, ABS 컴퓨터, ABS 액튜에이터, ABS 릴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륜은 좌우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후륜은 좌우를
[토요타 하이브리드] AQUA(아쿠아) AQUA(아쿠아)는 토요타 자동차가 2011년부터 판매시작한 소형 5도어 해치백형 하이브리드(HV) 승용차이다. 일본에서는 AQUA(아쿠아) 명으로, 북미, 대만, 오세아니아 등에서는 2013년 3월부터 프리우수 C(PRIUS C)라는 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프리우스(PRIUS)파생차종으로 프리우스 시리즈이다. 시스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제 3세대 프리우스와 같은 시스템으로 리덕션 기구가 채용된 THS-∥가 채용되었다. 엔진은 아트킨스 사이클을 채용한 배기량 1.5L의 1NZ-FXE형. 신설계한 1LM형 전기모터와 니켈수소 배터리로 구성되었다.
마쯔다(MAZDA),SKYACTIVE-G 마쯔다(MAZDA)의 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 자동차 기술에 포함되어 있는 스카이엑티브 엔진 기술인 SKYACTIVE-G를 소개드린다. 내연기관 효율향상에 주요인자를 압축비, 공연비(비열비), 연소기간, 연소타이밍, 펌핑손실, 기계마찰손실 6개롤 집약하여 마쯔다는 3단계로 주요인자를 가장 이상상태에 가깝게 하여 최고의 내연기관를 추구하고 있다고 마쯔다 파워트레인 책임자가 말한다. 고압축비엔진의 과제였던 녹킹(이상연소) 최근의 가솔린엔진 압축비는 10∼12정도가 일반적이다. 이상적인 것은 압축비를 10에서 15까지 높이면 약 9%의 열효율 향상이 기대된다.
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 SKYACTIVE TECHNOLOGY(스카이엑티브 테크놀리지)는 일본 자동차 메이커 마쯔다(MAZDA)가 개발 및 제조하는 자동차기술의 총징이다. 마쯔다(MAZDA)는 2011년부터 판매하는 자동차 제품 라인업(Line up)에 탑재하는 차세대 기술의 총칭인 SKYACTIVE TECHNOLOGY와 그 중심핵심이 되는 엔진, 트랜스미션, 보디, 샤시,기술의 개요를 발표했다. 마쯔다(MAZDA)는 자동차의 기본성능인 베이스 기술을 철저하게 향상시킨 것을 바탕으로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하이브리드시스템(HV) 등의 전기 디바이스을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빌드 테크놀리지(BUILD TECHNOLOGY) 전략을 채용하고
엔진은 수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엔진부품의 이름, 역할, 부착위치 등을 전부 이해하는 것은 어려우나, 중요 구성 부품에 관해 간단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엔진 마운트(Engine Mount) 엔진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 금속과 고무로 만들어져있다. 일반적으로 좌우 2개로 엔진을 지지하게 된다. 캠 카버(Can Cover) 엔진 상부에 있는 것으로 캠 샤프트, 밸브 등이 들어가 있는 부분의 카버이다. 캠스포로켓(Can Sprocket) 캠 샤프트이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i-ELOOP) 일본 마쯔다(MAZAD) 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SKYACTIV technology 에 포함되어 있는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감속에너지 재생시스템 i-ELOOP (REGENERATIVE BRAKING SYSTEM,i-ELOOP)는 자동차의 감속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로서 회수하여 자동차가 필요로 하는 전기에너지로서 재이용하는 기술이다. 실제 주행시 연비향상은 약 10%로 시산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알터네이터은 엔진출력의 약 10를 소비한다고 한다. 여러분들 자전거를 탈때 라이트를 켠상태에서는 패달을밟는 힘은 더욱